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log4j2
- NCP
- Git
- nodejs
- Java
- gson
- database
- mybatis
- IntelliJ
- tibero
- maven
- dbeaver
- react
- BPMN
- useEffect
- nginx
- Spring
- Windows
- VSCode
- JavaScript
- MySQL
- gradle
- kubectl
- wildfly
- springboot
- intellijIDEA
- Kubernetes
- docker
- LOG4J
- JPA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context (1)
두 손끝의 창조자
React Context에 대해 알아보자: Provider와 Consumer 관계, 정의, 사용법 그리고 제약사항
React의 Context API는 컴포넌트 트리 전체에 걸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전역 상태를 관리하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며, 주로 로그인 정보, UI 테마, 언어 등을 설정하는데 쓰입니다. 본문에서는 Context의 정의, Provider와 Consumer의 관계, 사용법, 그리고 동적으로 Context의 값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ontext의 정의 먼저, Context API는 React의 부분이며, 컴포넌트 트리 안에서 전역적으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사용하면, 중간에 있는 컴포넌트들을 건너뛰고 바로 자식 컴포넌트에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는 prop drilling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Provider와 Cons..
react
2023. 11. 16. 09:54